[뉴스특보] 고3 등교수업 첫날…코로나19 확진자 다시 30명대<br /><br /><br />이태원 클럽 관련 감염이 계속 확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형병원 의료진까지 잇따라 확진되면서 코로나19 감염이 다시 번지는 모양새인데요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오늘 등교수업이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전병율 차의과대학 예방의학과 교수, 그리고 이범 교육평론가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최근 안정세로 접어들던 코로나19 사태가 다시 확산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. 어제 신규 확진자 수는 32명으로 9일 만에 다시 30명대로 늘어났습니다. 인천 학원 강사에서 비롯된 확진자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는데요. 현 상황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서울삼성병원 사례는 대형병원 의료진이 감염됐다는 점도 문제지만, 아직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게 더 걱정입니다. 특히 오늘 새벽 간호사의 친구 1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았는데요. 피해를 줄이려면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하나요?<br /><br /> 병원에서 확진자가 나온 데 이어 서울에 있는 한 직업전문학교에서도 확진 환자가 나왔습니다. 양성 판정을 받은 학생은 증상이 시작되고도 나흘 동안 학교에 간 것으로 확인됐는데, 해당 학교는 지난달 20일부터 대면 수업을 했다고 합니다. 이 학교의 경우 일반 고교나 대학과 달리, 직업능력 개발훈련 기관이어서, 교육부가 비대면 수업을 강제할 권한이 없다면서요?<br /><br /> 다섯 차례 연기 끝에 고3 학생들이 등교수업을 시작했습니다. 정말 "가도 걱정, 안 가도 걱정"이란 말이 딱 맞는 표현일 거 같은데. 앞서 등교를 연기해 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에 동의한 인원이 20만명을 넘어서기도 했습니다. 등교 결정, 시기적으로 적절하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일각에선 교육부가 학교 방역 대책으로 제시한 가이드라인이 현실과 동떨어졌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? 일선 학교와 교사에게 방역 책임을 떠넘기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데요?<br /><br /> 가장 시급한 문제는 보건 인력 확보라는 지적이 있는데, 전체 학교의 15%가량은 보건 교사가 1명도 없다고 합니다. 특히 교실과 교사가 부족한데, 과밀 학급을 두 개로 나눠 수업하라는 정부 지침은 현실성이 없다는 지적도 나옵니다, 어떻게 보세요?<br /><br /> 첫날부터 우려한 일이 벌어졌습니다. 고3 등교 첫날인 오늘 고 3학생 2명이 확진 판정을 받아, 인천 5개 구 학교들이 학생 전원을 귀가 조치했습니다. 등교를 강행했다가 확진자가 늘어나 학교 문을 다시 닫은 싱가포르와 프랑스 사례도 있었죠.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앞으로 중학교와 초등학교는 등교와 원격수업을 병행하게 되는데, 지난 한달 간 이뤄진 원격수업, 제대로 이뤄졌는지 모르겠습니다. 아무래도 집중도가 떨어질 거 같은데요?<br /><br /> 당장 내일 학력평가를 시작으로 1학기에만 중요한 시험이 5개나 줄줄이 치러질 텐데, 내신이 대입에 반영되는 만큼 학생들은 민감할 수밖에 없는데요. 조언해 주신다면요?<br /><br /> 대학 입시 때문에 고3은 매일 등교를 하도록 한 건데, 수능 일정은 어떻게 되는 건지 이 부분은 아직 확실하지가 않은 것 같아요?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은 '수능 연기론'도 거론하는데. 대입 일정은 바뀌지 않을 거라는 교육부 방침과 다른 이야기이고. 전 질병관리본부장을 지낸 전병율 교수님께선 현 상황 어떻게 보세요?<br /><br /> 사상 초유의 코로나 국면에서 수능은 일단 12월 3일로 연기됐습니다. 올해 수능, 고3 학생들과 재수생 간 형평성 문제가 불거지고 있는데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지금까지 이범 교육평론가, 전병율 차의과대학 예방의학과 교수와 함께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